study 14

일본의 수채화 화단

일본 수채화 화단 일본 수채화 화단은 찰스 워그먼(Charles Wirgman, 1832~1891, 영국)에 의해 그 기반이 마련됐다. 위그먼은 영국의 저널리스트이자 화가로 활동하면서 일본에서 서양미술을 지도한 최초의 외국인이었다. 일본 여성과 결혼(1963, 오자와 가네)했으며, 일본에서 생을 마쳤다. 1857년,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The Illustrated London News)의 기자로 중국 광둥(廣東)에 파견되어 제2차 아편 전쟁을 취재하다가 1861년 4월, 일본으로 건너왔다. 1862년 거류 외국인들을 위한 일본 최초의 만화잡지 『재팬 펀치』(Japan Punch)를 창간했으며, 1885년(메이지 18년)에는 다양한 풍속과 사건 등을 그린 『일본의 스케치북』(A Sketch Bo..

study 2022.03.10

대한민국 수채화단체 설립 현황

전국 수채화단체 설립 현황 연도 지역 설립 내역 1956 서울 11. 현대수채화협회 창립전(동화화랑) 고화흠(1923~1999 회장), 최덕휴(1922~1998 홍성), 임직순(1921~1996 괴산), 이규호(1920~서울), 이종무(1916~1993 아산), 장리석(1916~2019 평양), 유경채(1920~1995 해주), 이준(1918~2021 남해), 이경희(1925~2019 대구) 등 1964 서울 수채협전 창립전(YMCA 화랑) 고승관, 권오웅, 김광남, 김용길, 박찬훈, 신정무, 류재우, 최쌍중 등 1968 광주 1. 수채화창작가협회 창립전(광주 Y살롱) 배동신(회장), 진양욱(1932~1984 남원), 최쌍중(1944~2005 담양), 박철교(1936~ 광주, 부회장), 강연균(1941~..

study 2022.03.10

수채화, 지방에서의 사색

해방 이전 대구사범 출신 화가들 은 1920년대까지 일제강점기 하에서의 중등미술교육을 도맡았던 국내 3대 사범학교 중 하나였다. 당시 사범학교나 는 모든 이가 선망하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학교였다. 한국 최고의 근대교육기관이었던 관립 은 1921년, 도립으로 개설됐던 과 은 1929년에 관립으로 재탄생되면서 심상과가 설치되었다. (경북대 사범대 전신)은 전국 각지에서 최고의 수재가 모이는 학교였으며 면내 소학교 전체에서 1, 2등을 해야만 입학할 수 있었다. 졸업하면 당시 엘리트 직업인 교사직이 보장되는데다 5년간 학비가 전액 면제되기 때문에 빈곤층이 절대다수였던 조선인들의 입학 경쟁이 치열했다고 한다. 소학교를 졸업한 뒤 에서 5년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소학교로 발령 받아 훈도(訓導·현재의 교사)가..

study 2022.03.04

수채화, 지방에서의 사색

수채화, 정체성을 지닌 글로벌 회화 수채화(水彩畵, watercolor)란 안료를 수용성접착제와 함께 물에 풀어서 그리는 그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통의 수묵화를 포함, 물이 매제로 사용되는 회화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그 의미를 확장시켜 볼 수도 있지만 오늘날 수채화라고 하는 것은 투명묘법에 의한 작품경향을 일컬으며, 서양화적인 표현기법으로 종이 위에 그린 그림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물을 매제로 삼는 여러 양식들의 독자적인 명칭, 예컨대 불투명화법인 과슈(gouache)나 제지술의 전래 이전 양식인 프레스코(fresco) 등에서처럼 수채화 역시 서양의 특정 회화양식을 지칭하는 것이다. 특히 동양의 수묵화는 물을 매제로 하는 회화양식임에는 틀림없으나 수채화와는 그 근본정신이 다르다. 수묵화는 기본적으..

study 2022.01.07

이여성과 이쾌대 형제

이여성(1901~?)과 이쾌대(1913~1965) 형제 이여성(본명 이명건)과 이쾌대는 칠곡 출신으로, 특히 동생 이쾌대는 20세기 한국의 대표적인 화가로 꼽힌다. 둘 다 월북화가로 남과 북에서 동시에 ‘금기 인물’로 낙인찍히기도 했던 비운의 형제이기도 했다. 이쾌대는 형과 더불어 북한에서도 행적이 사라졌다가 1999년 김정일의 지시로 복권된 뒤에야 북한미술사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 1965년 병사설이 유력하지만, ‘87년 사망설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1935년 9월, 언론인으로서의 이여성은 ‘예술가에게 보내는 말씀’이란 짧은 편지를 예술가들에게 띄웠다. “조선의 예술가에게 나는 다음과 같은 꼭 두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1.....2. 현실 조선의 과학적 파악자인 예술가-우리의 예술가는 유한자를..

study 2021.03.05

경북미술사 - '미술동인 경북선'

찻잔 속의 태풍이었던 7년 간의 기록 1988년, 에 재직하던 ‘민미협’ 소속 박용진의 주도로 예천, 영주, 상주의 젊은 작가들이 ‘미술동인 경북선’이라는 지역연합체를 태동시켰다. 명칭은 김천-영주 간 철도노선에서 자연스럽게 따왔다. 이들은 “우리의 지역미술은 어떠한 가치 기준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한국적인 주체성을 지니고 있는가?” “지역주민들과 공감의 폭은 어느 정도인가?” 등의 문제점을 스스로 자문했다. 박용진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중앙의 미술은 양적ㆍ물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제성이라는 유령 같은 흐름에 주체성을 상실하여 뿌리를 잃고 문화적 방황을 거듭하고 있다. 서울이 이럴진대 뿌리 있는 자생적 미술은 지방에서 길러져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중앙에 대비되는 변두리라는 뜻의 지방이 아니라..

study 2021.01.14

해방 이후 경북수채화의 뿌리, 경주예술학교

해방 이후 경북수채화의 뿌리, 경주예술학교 가. 경북수채화의 뿌리, 경주미술학교 경북수채화가 해방 이전 출신 작가들에 의해 발아기를 맞았다면, 해방 이후엔 출신들에 의해 발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되어 경북도와 분리되면서 대구-경북의 일체감은 차츰 느슨해져 갔다. 따라서 경북만의 수채화계보를 새롭게 정립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경북엔 경주라는 일찍 개화된 도시가 있었고, 그 꼭지점에 손일봉(1906~1985)이 있었다. 경북만의 계보를 따져보아도 그 의미가 희석되지 않을 만큼 손일봉은 큰 봉우리였고, 이인성과 더불어 초창기 한국수채화 화단의 입지전적 인물이라는 데에 이의가 없다. 손일봉은 1922년 에 입학한 이후 줄곧 경주를 떠나 있었기에, 대구화단이 수채화의 발생지로의 ..

study 2020.12.17

1940 ~ 1960년대 영주 역대 미술교사 및 학생 일람

1980.4.1 영주시 승격 기념 모듬두레전(덕풍예식장) 축사 김창홍 역대 미술교사(교장) 및 학생 일람 학 교 (개교일자) 비 고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영주농업학교(1943.5.5) 영주농업중학교(1946) 영주농고(1952) 영주종고(1964) 영주공고(1978) 영주제일고(2001) -1946.9.1. 영주농업중학교로 교명변경 -1951.8.11. 영주농업고등학교로 교명변경 -1952.11.15. 영주중학교 분리 -2001.3.1. 영주중앙고와 통합. 인문계고로 전환 교사 학생 교사 학생 교사 학생 안상갑 서창환 (1946) 이동수(겸임) 김호걸(서울대 '53학번) 마진부 (‘62.10.18~’63.2.28 영주중에서 겸무) 김창홍 (‘61 홍익대 서양화) 공고시절 후배들을 위해 방..

study 2020.06.11

경상북도 내 전시 공간(미술관) 현황

경북지역 주요 미술(서예)단체 현황지역창립년도단체명소 개경북(지역연합)1957대구경북서예가협회1957해동서화협회발족.1981년부터 '영남서예대전'운영 1975대구·경북여류초대작가회대구·포항·안동 등 영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장르의 국전초대작가 단체.‘75년 한국여류서화가협회로 창립, 2001년 대구경북지회를 설립. 1980경북조각회창립회원:홍성문,박병영,남철,김익수,정은기,송기석,이동호,신근호,전남길,신현오,황태갑,박세경등12인 1984한국미협경북도지회초대지회장 박재호(경주, 안동, 월성)1990경북초등미술교과연구회대구·안동 등지에서 활동. 대표작가로는 김정숙, 김종길, 박성락, 정수원, 박무혁, 최병석 등1993교남서단영주와 안동을 중심으로 대구·경북을 비롯해 전국에서 활동하는 서예가단체. 삼여..

study 2016.11.25

영미회 활동 학생 일람(1970년대~2000년대)

역대 미술교사 및 학생 일람 학교 (개교 및 변천사)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교사 (근무기간) 학생 교사 (근무기간) 학생 교사 (근무기간) 학생 교사 (근무기간) 학생 영주농업학교 (1943.5.5) 영주농업중학교 (1946) 영주농고(1952) 영주종고(1964) 영주공고(1978) 영주제일고(2001) 오상목 ('73년부터 2년 간 근무, 영주고와 경북전문대학에 시간강사 출강) (27회, ‘75) 홍현귀 임종대 김일동 김두식 (28회, ‘76 추계예대) (29회, ‘77) 김동철 (31회, ‘79) 남병미(안동대 한국화) 박정보 (공고1, 33회, ‘81) 신종철(안동대 서양화) 김승훈 (34회, ‘82) 송기영(안동대 서양화) 송기탁 김경미 송재진 (‘01~’04) 성숙..

study 2016.07.30